목차 일부
책머리에 = 3
제1부 동아시아 서사와 그 근대전환
제1장 동아시아 서사학 서설 :『구운몽』과『홍루몽』을 중심으로 논함 = 17
1. 동아시아 서사학에 대한 문제의식 = 17
2. 서사의 ''닫힌'' 구조『소양취사(昭陽趣史)』와『구운몽』 = 21
3. 한국소설사에서『구운몽』과 중국의『홍루몽』 = 26
4.『구운몽』...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3
제1부 동아시아 서사와 그 근대전환
제1장 동아시아 서사학 서설 :『구운몽』과『홍루몽』을 중심으로 논함 = 17
1. 동아시아 서사학에 대한 문제의식 = 17
2. 서사의 ''닫힌'' 구조『소양취사(昭陽趣史)』와『구운몽』 = 21
3. 한국소설사에서『구운몽』과 중국의『홍루몽』 = 26
4.『구운몽』과『홍루몽』의 비교분석 = 32
5. 맺음말 = 40
제2장 소설에서 근대어문의 실현경로 : 동아시아 보편문어에서 민족어문으로 이행하기까지 = 44
1. 동아시아의 근대어문 = 44
2. 근대 이전의 한국에서 소설의 존재 형태와 야담 = 48
3. 1920년대 소설에서 실현되는 근대어문『만세전』과『아Q정전』을 대비해서 = 60
4. 동아시아 보편문어로부터 민족어문으로의 이행과정소설과 대비해 본 논설체의 성립 = 70
제2부 15, 16세기의 전기소설
제1장 전기작가의 탄생,『금오신화』 = 83
1. 머리말 = 83
2. 김시습 : 전기소설 작가의 탄생 = 85
3.『금오신화』: 현실주의와 비극성 = 101
4. 한ㆍ중소설의 전개과정에서 본『금오신화』 = 145
5. 맺음말 = 168
제2장『화영집(花影集)』을 통해 본 한ㆍ중소설 : 우의적 성격과 권선징악적 구조 = 173
1.『화영집』, 그 조선간본 = 173
2. 명대소설과 조선에서 수용양상『삼국지연의』ㆍ『전등신화』 = 176
3.『화영집』이 성취한 경지 = 192
4. 16세기 조선문인의 창작에서 우의적 성격「수성지」ㆍ「화사」 = 205
5. 17세기 국문소설에 있어서 권선징악의 구조『창선감의록』 = 216
6. 맺음말 = 222
제3장 전기소설의 연애주제와「위경천전(韋敬天傳)」 = 224
1. 머리말한국소설사에서 전기소설 = 224
2.「위경천전」 = 227
3. 전기소설의 연애주제 = 230
4. 맺음말 : 임진전쟁의 소설적 투영 = 242
추기 = 245
제3부 규방소설
17세기 규방소설의 성립과『창선감의록(倡善感義錄)』 = 249
1. 머리말 = 249
2. 규방소설의 성립 경위 = 251
3. 국문소설의 유행양상과 그 여성교양적 성격 = 267
4.『창선감의록』을 통해 본 규방소설 = 282
5. 끝맺음 : 규방소설의 문학사적 행방 = 326
덧붙임 = 334
제4부 야담ㆍ한문단편
제1장 18ㆍ19세기 ''이야기꾼''과 소설의 발달 = 339
1. 머리말 = 339
2. 이야기꾼의 유형과 실태 = 341
3. 이야기꾼의 활동 배경 = 352
4. 이야기꾼과 소설의 관계 = 360
5. 맺음말 = 365
붙임 = 367
제2장 한문단편 형성과정에서의 강담사 : 허생고사(許生故事)와 윤영 = 368
1. 한문단편과 강담사 = 368
2. 윤영(尹映)의 존재 = 375
3. 허생고사의 연변양상 = 378
4. 강담사의 창작의식과 수법 = 385
5. 보론 : 광문(달문) 이야기 = 389
제3장『동패낙송(東稗洛誦)』연구 : 야담의 기록화과정과 한문단편의 성립 = 397
1. 머리말 = 397
2.『동패낙송』의 작자 고증 과정 = 400
3.『동패낙송』을 지은 노명흠 = 407
4.『동패낙송』의 작가의식과 구성ㆍ표현의 특징 = 414
5. 맺음말 = 444
제4장 야담의 근대적 변모 : 일제하에서 야담전통의 계승양상 = 448
1. 야담의 전통과 그에 대한 인식 = 448
2. 1910년 이후 야담의 존속 양상 = 452
3. 1928년의 ''야담운동'' = 456
4. 1930년대 야담의 잡지매체 수용 = 475
5. 맺음말 = 490
제5부 20세기 전후 소설양식의 변모
제1장『조선개국록』: 민간적 상상의 역사소설 = 497
1.『조선개국록』 = 497
2. 역사상의 사실과 소설 = 500
3. 역사에 대한 민간적 상상 = 504
4. 불합리성과 투식적 표현법 = 507
5.『조선개국록』의 소설화 과정 = 511
6. 19세기의 민족 위기와 민간적 역사상의 문학세계 = 515
제2장 근대계몽기의 한문소설 :『신단공안(神斷公案)』 = 522
1. 글을 시작하면서 = 522
2. 한국소설의 전래적 존재양상과 20세기 초의 변형 = 527
3.『신단공안』인식, 그 소설적 성격과 문체의 특색 = 535
4.『신단공안』의 작품적 성취 = 551
5.『잠상태(岑上苔)』,『신단공안』과의 대비 = 582
6. 맺음말 :『신단공안』의 작자 문제 = 595
제3장 20세기 초 소설의 신구양식의 교호양상 :『빈상설』ㆍ『흥선격악록』ㆍ『정씨복선록』 = 608
1. 20세기 초의 전환기적 상황 = 608
2.『빈상설(鬢上雪)』의 경우 = 611
3.『흥선격악록(興善擊惡錄)』의 경우 = 623
4.『정씨복선록(鄭氏福善錄)』의 경우 = 631
5. 맺음말 = 640
제6부 근대소설
제1장『임꺽정』론 1 벽초 홍명희와『임꺽정』 = 648
1.『임꺽정』의 첫머리 = 648
2. 문학사에서 홍명희의 위치 = 649
3. 신간회와 홍명희의 입장,『임꺽정』 = 654
제2장『임꺽정』론 2 한국근대문학사에서『임꺽정』 = 671
1. 서언 = 671
2. 신문학의 성립 과정에서 계급문학의 대두와 민족문학 = 672
3. 홍명희의 좌우합작을 위한 노력과 문학관 = 675
4.『임꺽정』의 해석ㆍ평가 문제 = 679
5. 맺음말 = 694
제3장『삼대』론 : 염상섭의 작가정신과 한국 근대 = 696
1.『삼대』에 대한 평가 문제 = 696
2. 염상섭의 사상적ㆍ문학적 입장 = 699
3.『삼대』의 작법상의 특징적 면모 = 706
4. 세 세대를 통한 서사의 의미 = 712
5. 염상섭 문학의 자연주의와 사실주의 = 718
제4장 단편소설론 : 그 연원과 전개 = 723
1. 한국단편소설의 연원 = 723
2. 단편문학의 고품질이태준의『해방 전후』 = 727
3. 8ㆍ15 전후의 작가와 작품들『한국현대 대표소설선』7 = 739
보론
군도의 사회사 : 역사 속의 홍길동과 소설 속의 홍길동 = 755
1.『홍길동전』과 활빈당 = 755
2. 역사상의 홍길동 = 756
3. 역사상 홍길동의 존재 의미와 그 소설화 = 761
한국 실학의 화폐에 대한 두 시각 : 동시대 소설의 문제제기와 관련하여 = 764
1. 금속 화폐의 출현과 실학, 소설 = 764
2. 소설에 반영된 화폐경제의 사회상『흥부전』과『보은기우록』의 경우 = 767
3. 18세기 실학의 화폐에 대한 긍정론과 부정론 = 772
4. 19세기 두 지식인의 화폐관 = 781
5. 맺음말 = 787
저작ㆍ발표 경위 일람 = 790
발문 : 한국소설사의 영토 / 백낙청 = 794
인명 찾아보기 = 803
작품 및 매체 찾아보기 = 807
지명 찾아보기 = 814
용어 찾아보기 = 81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