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펴내며 = 5
Ⅰ 한반도 초기철기시대의 사회와 문화
1장 초기철기시대 정치체 수장의 성격 = 17
1. 초기철기시대의 정치체 = 17
2. 초기철기시대 정치체에 대한 용어 = 19
3. 초기철기시대 ''읍락집단'' 수장의 성격 = 23
4. 맺는말 = 59
참고문헌 = 62
2장 충청ㆍ전라 지역...
더보기
목차 전체
책을 펴내며 = 5
Ⅰ 한반도 초기철기시대의 사회와 문화
1장 초기철기시대 정치체 수장의 성격 = 17
1. 초기철기시대의 정치체 = 17
2. 초기철기시대 정치체에 대한 용어 = 19
3. 초기철기시대 ''읍락집단'' 수장의 성격 = 23
4. 맺는말 = 59
참고문헌 = 62
2장 충청ㆍ전라 지역 초기철기시대의 청동기 생산 활동 = 65
1. 한반도의 세형동검문화 = 65
2. 충청ㆍ전라 지역 세형동검문화의 전개 과정 = 67
3. 세형동검 관련 청동기의 원료 산지 = 73
4. 위만조선 우거왕의 대외 교역로 장악 = 91
5. 맺는말 = 98
참고문헌 = 100
Ⅱ 마한에서 백제로의 발전
1장 마한 사회의 형성과 발달 = 107
1. 한(韓)의 등장 = 107
2. 마한 소국의 형성 = 118
3. 마한 소국의 성장과 소국연맹체의 형성 = 123
4. 맺는말 = 141
참고문헌 = 142
2장 3세기 마한과 백제국 = 145
1. 마한과 백제국의 관계 = 145
2. 초기 백제국의 중심지와 목지국의 세력 범위 = 147
3. 백제국의 하남 이주 시기와 배경 = 155
4. 백제국의 성장과 목지국소국연맹체의 쇠퇴 = 164
5. 맺는말 = 171
참고문헌 = 175
3장『삼국사기』백제본기에 나타난 마한에 대한 인식 = 177
1. 백제본기 온조왕 대의 마한 기록 = 177
2. 백제국의 물질문화 = 181
3. 3세기 중엽 마한 지역 소국연맹체의 변화 = 193
4. 고이왕 대의 정치ㆍ사회적 통합 수준 = 196
5. 맺는말 = 201
참고문헌 = 205
4장 백제 고이왕 대 연맹왕국(부체제)설 검토 = 208
1. 한국 고대의 국가 형성과 발전 과정 = 208
2. 소국연맹체와 연맹왕국(부체제)의 개념 = 212
3. 고이왕 대는 ''연맹왕국'' 단계인가? = 216
4. 고고학계의 백제 국가 성립에 대한 연구 = 227
5. ''연맹왕국'' 단계의 통치 형태와 물질 자료 = 234
6. 맺는말 = 247
참고문헌 = 250
5장 백제 국가 형성 과정을 둘러싼 중요 쟁점 = 254
1. 문제 제기 = 254
2. 고이왕 대는 부체제 단계였나? = 255
3. 근초고왕 대는 중앙집권적 귀족국가 단계였나? = 264
4. 맺는말 = 284
참고문헌 = 287
6장 4∼5세기 영산강 유역 토착 세력의 성격 = 291
1. 영산강 유역의 옹관고분 = 291
2. 영산강 유역 토착 세력에 대한 연구 동향(1980∼1990년대) = 293
3. 4세기 후반 옹관고분 축조 집단의 정치ㆍ사회적 성격 = 298
4. 5세기 영산강 유역 정치체의 실상 = 305
5. 영산강 유역 토착 세력과 백제의 관계 = 312
6. 맺는말 = 325
추기(追記) = 329
참고문헌 = 331
Ⅲ 진한에서 신라로의 발전
1장 고고학자료로 본 사로국 6촌 = 337
1. 사로국의 구성 = 337
2. 사로국 6촌에 대한 이해의 방향 = 338
3. 대규모 집단 묘역(墓域)의 등장 = 346
4. 경주 일원의 목관묘ㆍ목곽묘 유적과 6촌 = 353
5. 맺는말 = 371
참고문헌 = 374
2장 진한 사로국의 성장 = 378
1. 사로국의 내부 구성 = 378
2. 고고학상으로 나타난 사로국의 변화 = 386
3. 이사금 시기 사로국의 성장 = 393
4. 진한소국연맹체와 사로국 = 407
5. 맺는말 = 413
참고문헌 = 416
부록
부록 1 원삼국시대론 검토 = 421
1. 원삼국시대란? = 421
2. 원삼국시대 개념 정리 = 424
3. 문헌사에서 본 1∼3세기 = 426
4. 원삼국시대의 문화적 성격 = 439
5. 맺는말 = 450
추기(追記) = 453
참고문헌 = 458
부록 2 옥저의 기원과 문화 성격 = 461
1. 문제 제기 = 461
2. 연구 현황과 문제점 = 464
3. 옥저의 기원 = 474
4. ''옥저''문화와 단결-크로우노프카문화 = 482
5. 옥저의 공간적 확대 = 484
6. 북옥저의 지리적 범위 = 493
7. 맺는말 = 497
참고문헌 = 500
찾아보기 = 503
장별 원출처 = 51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