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서론
Ⅰ. ‘악장・동아시아・비교’의 한계와 의미
Ⅱ. 동아시아 악장과 그 토양으로서의 중세적 보편주의
제2부 한・중・일 악장의 존재양상과 존립기반
Ⅰ. 용어의 의미범주 및 역사・문화적 의미
Ⅱ. 중국악장의 수용과 고려악장의 확립
1. 악장 수용의 바탕과 중국-고려 음악의 교섭양상
2. 고려악장에 미친 중국 악장의 영향
Ⅲ. 중국 및 고...
더보기
목차 전체
제1부 서론
Ⅰ. ‘악장・동아시아・비교’의 한계와 의미
Ⅱ. 동아시아 악장과 그 토양으로서의 중세적 보편주의
제2부 한・중・일 악장의 존재양상과 존립기반
Ⅰ. 용어의 의미범주 및 역사・문화적 의미
Ⅱ. 중국악장의 수용과 고려악장의 확립
1. 악장 수용의 바탕과 중국-고려 음악의 교섭양상
2. 고려악장에 미친 중국 악장의 영향
Ⅲ. 중국 및 고려왕조들의 呈才와 정재악장들
1. 당악・당악악장과 속악・속악악장의 관계
2. 고려 속악악장의 관습과 표현의 溯源: <동동>과 당악의 散詞들
3. <보허사>와 고려 당악악장에 등장하는 관습적 표현의 소원
Ⅳ. 중국 악장의 수용과 조선조 악장의 확립
1. 고려 악장체계의 계승을 통한 중국 연향악의 수용
2. <용비어천가>의 출현과 중국왕조 창업정신의 수용
3. 조선조 제례악장의 중국 왕조 제례악장 수용
Ⅴ. 일본 악장의 존재여부와 콘텍스트로서의 아악
1. 일본 아악의 특수성과 중국음악의 영향
2. 일본 속악 및 가요의 동아시아적 보편성
Ⅵ. 한・중・일 아악의 같고 다름과 釋奠樂章
1. 한・중・일 석전・석전악・석전악장 논의의 당위성
2. 석전악장 콘텍스트로서의 석전의례: 중국과 한국의 경우
3. 한-중 석전악장의 연동양상
4. 일본 석전・석전악・석전악장의 독자성
제3부 『시경』과 중・한・일 악장 및 예악문화
Ⅰ. 『시경』 수용의 패러다임, 그 보편성과 특수성
1. 논의의 전제
2. 『시경』 텍스트 수용의 두 양상
Ⅱ. 중세 예악문화와 『시경』의 텍스트적 본질
Ⅲ. 『시경』 수용을 통한 문화・정치적 보편성의 확보 1: 중국 역대 악장의 경우
1. 『시경』 수용에 관한 모범적 선례의 확립: 한나라 악장
2. 『시경』 수용 관습의 지속과 주변 음악문화의 폭 넓은 흡수: 수・당의 악장
3. 이데올로기 근원으로서의 『시경』 수용과 아악 중시의 새로운 기풍: 송나라 악장
4. 정통성 확보의 다급함, 『시경』 수용 전통의 墨守: 원나라 악장
Ⅳ. 『시경』 수용을 통한 문화・정치적 보편성의 확보 2: 고려・조선의 악장
1. 중세 왕조들의 『시경』 수용 및 정착
2. 『시경』 텍스트의 조립으로 만든 「휘의공주혼전대향악장」, 그 중세 보편주의 구현의 양상
3. 『시경』 텍스트의 조합으로 만든 「신찬태묘악장」, 그 중세 보편주의 구현의 새 양상
4. 중세 보편주의 지향 및 실천으로서의 예악정치: 조선 악장과 『시경』
5. 악장으로 승화된 창업의 역사: <용비어천가>와 『시경』 수용의 새 양상
Ⅴ. 『시경』 수용과 예악문화의 독자적 성향 확보: 일본의 경우
1. 『시경』 수용과 『가이후소(懷風藻)』 한시의 성격
2. 『시경』 수용과 『고킨와카슈(古今和歌集)』의 노래
3. 『시경』과 일본 에이교쿠(郢曲)類의 관련 가능성
제4부 결론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