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1장 고종의 즉위와 한성의 도시건축 변화
1절 고종의 즉위와 흥선대원군의 집권
2절 왕권 회복과 경복궁 중건
1. 경복궁 중건
2. 육조거리, 삼군부와 의정부의 복원
3. 왕실 관련 시설의 정비: 영희전, 종친부
4. 국가 위기 극복과 관왕묘
...
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1장 고종의 즉위와 한성의 도시건축 변화
1절 고종의 즉위와 흥선대원군의 집권
2절 왕권 회복과 경복궁 중건
1. 경복궁 중건
2. 육조거리, 삼군부와 의정부의 복원
3. 왕실 관련 시설의 정비: 영희전, 종친부
4. 국가 위기 극복과 관왕묘
3절 경복궁 복원과 도시구조 재편의 의미
2장 개항, 도시와 산업의 재편
1절 개항, 조선 정부의 선택
1. 개항과 개항장
1) 1876년 부산 개항
2) 1880년 원산 개항
3) 1883년 인천 개항과 조미수호통상조약
2. 인천 조계지의 도시계획
1) 인천 조계지의 입지와 월미도
2) 인천제물포각국 조계장정과 조계지 경영
3) 조계지의 공간구조
2절 개항과 조선의 변화
1. 일본국과 수신사
2. 청국과 영선사
3. 미국과 보빙사
1) 유길준의 유학
2) 만국우편연합과 국제적십자연맹 가입
4. 동도서기론과 근대 산업시설의 도입
1) 번사창과 무비자강(武備自强)
2) 우정총국과 근대 우편제도의 도입
3) 전환국과 근대 화폐경제
3절 김옥균의 치도론과 근대도시계획의 태동
3장 외교타운 정동의 탄생과 선교기지 정동
1절 일본공사관의 입지와 위치 이동
2절 일본국 공관의 서양식 역사주의 건축양식이 갖는 의미
3절 외교타운 정동의 탄생
1. 정동의 유래
2. 개항 전 경운궁
3. 조미수교와 외교타운 정동의 탄생
4. 외교타운 정동의 입지와 도시적 의미
4절 정동의 서양 공관과 건축
1. 각국 공사관
1) 미국공사관
2) 영국공사관
3) 프랑스공사관
4) 러시아공사관
5) 독일영사관
6) 벨기에영사관
7) 이태리공사관
2. 외교타운의 클럽하우스, 손탁호텔
5절 선교기지와 의료 및 교육시설
1. 정동의 교회 건축
1) 개신교 교회의 시작, 새문안교회
2) 정동제일교회
3) 성공회 서울대성당
4) 구세군 중앙회관
2. 선교 교육시설
1) 배재학당
2) 이화학당
3. 선교 의료시설
1) 시병원
2) 보구여관(普救女館)
4장 대한제국의 도시와 건축
1절 을미사변과 아관파천
1. 1895년 을미사변, 일본의 도발
2. 아관파천, 제국을 향한 첫걸음
3. 독립문 건설
1) 독립문 건설 과정
2) 독립문과 러시아공사관 정문
3) 독립문의 건축양식
4) ‘독립’의 의미와 ‘독립문’과 ‘獨立門’에 담긴 메시지
2절 대한제국의 황궁, 경운궁과 건축
1. 고종의 환궁과 제국 건설
2. 경운궁과 양관
1) 제국의 두 얼굴: 석조전과 중화전
2) 제국 경영의 두 축: 원수부와 궁내부
3) 경운궁의 양관과 베란다 건축
4) 사라진 덕수궁의 양관
3절 대한제국의 도시와 건축
1. 서울의 도시구조 재편
1) 황토현 신작로 개설
2) 소공로 개설
2. 대한제국의 건축
1) 독립문
2) 환구단
3) 탑골공원, 근대도시의 상징적 장치
4절 대한제국의 개항장과 도시 재편
1. 상업도시의 탄생
2. 개항장의 입지와 성격
3. 상업도시 목포
5절 근대교통시설의 도입과 도시구조 재편
1. 경인철도
1) 경인철도 노선
2) 경인철도 건설
2. 경의철도와 경부철도
3. 전차
6절 외래 종교와 신건축
1. 한옥 종교 건축
2. 벽돌조 종교 건축
1) 가톨릭교회 건축
2) 개신교 교회 건축
7절 교육시설
1. 관립학교
1) 외국어교육시설
2) 전문교육시설
2. 사립학교
1) 기독교계 사립학교
2) 사립학교
8절 광무개혁과 산업시설
1. 최초의 산업 건축, 전환국
2. 군수산업 시설, 번사창
3. 물공장 정수장
4. 벽돌공장
9절 박람회와 건축
1. 시카고박람회, 1893
2. 파리박람회, 1900
10절 고종황제 즉위 40년과 정동의 재편
5장 러일전쟁과 한국통감부기 도시와 건축
1절 러일전쟁과 경의철도
2절 한국통감부와 탁지부 건축소
1. 한국통감부와 남산
2. 통감정치와 궁궐의 해체
1) 경복궁의 해체
2) 궁궐의 관광지화, 경복궁과 창덕궁
3) 경복궁의 수리와 공원화 계획
3. 탁지부 건축소
1) 건축 vs. 영조
2) 건축소 조직
4. 탁지부 건축소의 건축
1) 의정부청사
2) 내부청사
3) 농상공부청사
4) 건축소청사
5) 광통관
6) 대한의원
7) 축항과 세관 건축
8) 기상관측소
5. 탁지부 건축소의 일인 건축기술자들
3절 일군기지 건설과 용산 신시가지 건설
1. 개항기 마포와 용산
2. 서울 최초의 공업지대, 용산
3. 신용산 시가지 건설
4. 일본군 병영 건설
6장 식민지배체제의 구축과 도시 재편
1절 식민도시 경성의 탄생
1. 통감부와 총독부
2. 서울의 식민 도시화: 한성에서 경성으로
1) 식민지배체제 구축과 도시 변화
2) 장충단의 폐지와 박문사 건립
3) 왜성대공원과 한양공원
4) 조선신궁
3. 궁궐의 해체
1) 경희궁
2) 창경궁
3) 경복궁
2절 식민지배와 도시의 재편
1, 개항장의 수탈기지화
1) 교역항에서 수탈기지로 전환된 개항장
2) 북선(北鮮)개발과 자원 개발 및 수탈의 현장 동해안의 항구
2. 군사도시의 탄생: 용산과 진해 그리고 나남
1) 철도와 병영의 신시가지 용산
2) 군사도시, 진해
3) 군사도시, 나남
3. 동양척식주식회사와 식민사업
1)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식민사업
2) 일본인의 이주농촌
3) 일본인의 이주어촌
4. 병참기지화 속 공업화와 도시·건축의 변화
3절 식민지 자본주의와 도시 그리고 건축
1. 식민지 산업화와 공진회
1) 경성박람회
2) 조선물산공진회
3) 조선박람회
4) 일본과 식민지 박람회의 조선관
2. 식민지 자본주의와 건축
1) 은행
2) 백화점
3) 극장
7장 식민지기 도시와 건축
1절 건축교육과 건축가
1. 건축교육
1) 경성공업전문학교와 경성고등공업학교
2) 경성고등공업학교의 학제와 운영
3) 일본 내 건축학과 설치 현황과 경성고공의 위상
2. 경성공업전문학교와 경성고등공업학교의 교수진
3. 경성고등공업학교의 건축교과과정
4. 한인 건축가
1) 박길룡(1898-1943)
2) 박동진(1899-1981)
3) 일제강점기 한인 건축가
2절 식민지배시스템 구축과 건축
1. 한국통감부청사(후 남산 총독부)
2. 조선총독부 신청사와 총독관저
1) 설계
2) 조선총독부 신청사 건설과 도시적 의미
3. 식민지 지배체제 구축과 행정청사: 도청사와 부청사 그리고 지방관청사
1) 도청사
2) 부청사
3. 관문도시의 등장
1) 의주에서 신의주로
2) 동래부에서 부산부로
3절 종교시설
1. 천도교와 교당
2. 신사
1) 경성신사
2) 조선신궁과 지방의 신사
3. 일본 사찰
4. 기독교와 교회 건축
1) 가톨릭 교회 건축
2) 성공회 교회 건축
3) 개신교와 선교 건축
4절 주택 건축
1. 통감부와 총독부 관사
2. 도시 주택
1) 부영주택과 토막촌
2) 문화주택
3) 도시한옥
5절 교육시설
1. 초등교육시설
2. 중등교육시설
3. 고등교육시설
1) 관립전문학교
2) 사립전문학교
3) 관립대학, 경성제국대학
6절 식민지 산업과 건축
1. 식민지 산업 건축
1) 일본인 농장과 건축
2) 수리조합
3) 정미업과 공장
4) 방직공장과 방적공장
2. 식민지 관광정책과 콜로니얼 투어리즘(Colonial Tourism)
1) 식민지 재정 자립과 관광정책
2) 한옥형 철도역사
3) 북유럽형 철도역사
4) 표준형 철도역사와 모더니즘 철도역사
7절 식민지 문화시설
1. 박물관
1) 총독부박물관
2) 개성박물관
3) 경주박물관
4) 부여박물관
5) 공주박물관
6) 평양부립박물관
2. 미술관
1) 시정25주년기념미술관
2) 덕수궁미술관
3) 보화각
3. 도서관
1) 총독부도서관
2) 경성도서관
3) 경성부립도서관
4) 종로도서관
5) 지역 도서관
4. 과학관
8절 공공건축과 모더니즘
8장 전쟁과 도시 그리고 건축
1절 만주사변과 중일전쟁 그리고 방공법
2절 전시체제하 병참기지화와 도시
1. 경인공업지구와 경인시가지일체화계획: 서울, 인천
2. 북선개발과 공업도시: 청진, 함흥, 흥남, 나진, 원산, 울산
3절 전쟁과 도시
1. 소개도로와 도시구조의 변화
2. 전시체제와 조선주택영단
1) 조선주택영단 설립 배경
2) 조선주택영단 설립
3) 조선주택영단 사업
4) 지역별 주택영단 사업
5) 한반도의 기타 영단
6) 소개(疏開)와 간이주택
4절 황국신민화정책과 건축
1. 부여신궁과 호국신사
1) 부여신궁
2) 호국신사
2. 황국신민서사탑
맺음말
주석
표 및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더보기 닫기